시간이 없다. 10파트는 코딩이니 건너뛴다.
기억장치의 관리 전략 | ||
반입 전략 | 프로그램/데이터를 주기억장치로 가져오는 시기를 결정하는 전략 | 요구 반입, 예상 반입 |
배치 전략 | 프로그램/데이터의 주기억장치 내 위치를 정하는 전략 | first fit, Best Fit, Last Fit |
교체 전략 | 주기억장치 내 빈 공간 확보를 위해 제거할 프로그램/데이터를 정하는 전략 | FIFO, OPT, LRU, LFU, NUR, SCR 등 |
단편화 | 기억장소들이 조각으로 조각으로 나뉘어지는 현상 | |
내부 단편화 | 분할된 영역이 할당 작업보다 큰 상황일 경우 남게되는 빈 조각 공간이 발생하는 현상 | |
외부 단편화 | 분할된 영역이 할당 작업보다 작은 상황에서 할당이 불가능하게 되어 남게 되는 공간이 발생하는 현상 | |
해결법 - 통합 | 인접한 낭비 공간들을 모아서 하나의 큰 기억 공간을 만드는 작업 | |
해결법 - 압축 | 서로 떨어져 있는 공백을 모아서 하나의 큰 기억 공간으로 만드는 작업, 가비지 컬랙션이라고도 |
프로세스 제어 블록(PCB) | 운영체제가 프로세스에 대한 중요 정보를 저장해 놓는 곳 | |
프로세스의 상태 전이 | 제출 - 접수 - 준비 - 실행 - 대기 - 종료 | |
스레드 | 시스템의 여러 자원을 할당받아 실행하는 프로그램의 단위 또는 프로세스 내에서의 작업 단위로 사용 |
OSI 7계층 | ||
응용 계층 | 응용 프로그램 간의 네트워크 서비스 | |
표현 계층 | 복호화, 암호화 담당 | |
세션 계층 | 프로세스 간의 연결 확립, 관리, 단절시키는 수단 관장 | |
전송 계층 | 게이트웨이 | 양 종단 간 신뢰성 있는 정보 전달 |
네트워크 계층 | 라우터 | TCP/UDP/IP 사용, 빠르게 데이터 전달 |
데이터 링크 계층 | 랜카드, 브리지, 스위치 | 인접한 노드끼리 신뢰성 있는 정보 전달 |
물리적 계층 | 리피터, 허브 | 물리적 전송 매체와 전송 신호 방식 정의 |
키의 종류 | ||
슈퍼키 | 유일성 only | |
후보키 | 유일성, 최소성 | |
기본키 | 후보키 중에서 튜플 식별 위해 선택된 키 | |
외래키 | 다른 테이블을 참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속성 | |
대체키 | 후보키 중 기본키 제외한 속성 |
'정처리 기사 실기 정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정보처리기사 2024 1회 실기 합격 후기 (0) | 2024.06.30 |
---|---|
정처리 기사 실기 정리 - 9 (1) | 2023.10.06 |
정처리 기사 실기 정리 - 8 (0) | 2023.10.04 |
정처리 기사 실기 정리 - 7 (1) | 2023.10.04 |
정처리 기사 실기 정리 - 5, 6 (0) | 2023.10.03 |